
랜딩페이지 상단 섹션의 변경에 따른 A/B 테스트
2022. 4. 30. 11:42
MKT_Lab
랜딩페이지의 각 구성은 올바르게 작동할까? 랜딩페이지를 만들 때, 설문조사나 데이터, CX인입 사항 등 다양한 내용들을 검토하고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과연 이렇게 만든 랜딩페이지는 실제로 잘 작동하고 있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효율이 안나오는 것 같다고 전체를 변경한다면 변수가 너무 많아져서 어떤 부분이 효율을 크게 만들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계속해서 전체 구성을 바꾸고 리디자인 하는 것은 디자이너나 개발자에게도 왜 해야하는지, 이게 맞는 업무인지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물론, 진행을 해주겠지만 서로가 서로를 힘들게 할 뿐이죠. 그렇기에 확실한 강점 요소를 찾아가면서 랜딩페이지를 바꾸게 된다면 모두가 납득할 수 있고 전체가 아닌 일부를 바꿔가기에 불필요한 리소..

키워드에 따른 효율 확인과 키워드 활용 방안 확인하기
2022. 3. 31. 14:38
MKT_Lab
키워드별 고객들의 반응은 진짜로 다를까 광고를 진행한다고 가정할 때, 키워드를 다르게 쓰는 것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는가 묻는다면 대부분 키워드에 따라 효율이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까지 제가 맡은 브랜드에서 어떤 키워드가 효율을 만드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는 상황이였습니다. 큰 틀에서 이런 키워드들이 효율이 높겠지 하는 내용은 있었지만, 이것은 광고 실험을 통해서 도출한게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브랜드에 관심을 갖게하는 키워드는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활용할 경우 효율이 더 높아지는지 확인이 필요했습니다. 문제 상황 : 정확히 어떤 키워드들이 효율이 발생하는지 모름 앞선 말처럼 키워드를 바꿈으로 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사항이겠죠. 하지만, 정확히 어떤 키워드들이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