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A4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계정과 속성 -

 

분석툴로 GA4를 채택하고 계정을 생성하였나요?

이미 UA를 통해서 구글 애널리틱스가 익숙하다면,

초기에 큰 어려움은 없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가장 먼저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건 아마 ‘계정’과 ‘속성'일텐데요.

대체 계정은 무엇이고 속성은 또 무엇일까요?

 

GA4 : 계정 알아보기

계정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구성하는 요소 중 최상위 요소입니다.

보통은 하나 계정으로 운영을 하지만 다수의 회사를 운영해서

분석이 필요하다면 계정을 많이 만들 수도 있습니다.

 

 

만약 삼성그룹의 구글 애널리틱스를 생각할 때,

삼성전자라는 GA4 계정과 삼성생명보험, 삼성물산 등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우선은 이렇게만 알고 계시고, 더 자세하게 보기 위해서는 GA4의 속성까지 알아야합니다.

 

GA4 : 속성

속성은 직접적으로 웹이나 앱에 설치하여 분석하는 단위입니다.

계정보다 작은 속성으로 계정에 포함됩니다.

각 속성에는 분석을 위한 태그가 지급되고,

이 태그를 웹 혹은 앱에 설치함으로서 GA4의 분석이 가능하게 됩니다.

 

 

위의 예시에서 속성을 더 해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계정안에는 어떤 속성이 있을 수 있을까요?

삼성전자 공식홈페이지, 프로모션 페이지, 갤럭시 스토어 앱, 삼성페이 앱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속성을 나눠야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성격의 사이트나 웹을 합쳐서 데이터를 받는다면

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분석 또한 어려워 집니다.

 

Q. 위 이미지가 공식홈페이지 + 프로모션 페이지의 GA4 데이터일 경우, 공식홈페이지의 방문자가 몇 명인지 알 수 있나요?

- 정답은 모른다입니다.

 

하나의 속성에서 관련성이 낮은 두 페이지를 관리한다면,

어디서 몇 명의 사용자가 있었는지 알기위해서 별도로 보고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데이터의 직관성도 떨어지고, 매 번 확인하기 위해서 만들어야하는 보고서도 늘어나죠.

그렇기 때문에 페이지 혹은 앱의 연관도나 속성에 맞춰서 분류가 필요합니다.

다수가 GA4를 관리하면 계정과 속성의 계층 구조 이해가 필요합니다.

계정은 GA4의 가장 큰 구성 요소입니다.

그리고 계정 안에는 속성이 존재하게 되죠.

하지만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고 권한을 주게된다면,

필요없는 정보를 주게 되거나 유출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사람들이 GA4를 관리한다고 할 때,

만약 삼성전자 공식홈페이지만 관리하는 사람이라면 속성의 권한을 주면 됩니다.

위 사람에게 삼성전자 계정의 권한을 부여한다면 하부 속성인 프로모션, 삼성페이 등

계정에 포함된 모든 속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UA가 익숙한 분들이라면 ‘보기’를 찾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GA4는 보기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속성에서 필터를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보기'는 UA에서 속성 단위의 데이터가 들어오는 것을 필터링한 값을 보여주는 형태들 입니다.
내부 IP를 제외한 데이터를 보여주거나, 특정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보여주는 형식이죠.
하지만 GA4는 지원하지 않는 내용이니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응형
복사했습니다!